여러분은 외향적인가요, 내향적인가요? 내향인이라면 직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수많은 회의, 스몰토크, 회식 등에서 스트레스를 꽤 받았을 거예요. 최근 MBTI와 같은 성격 유형 검사가 유행하면서 내향인에 대한 오해가 많이 해소됐지만, 아직도 직장생활에 있어서는 외향인이 유리하다는 편견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이미지출처=네이버 영화 라이브러리
여기 내향적인 직장인이 나오는 영화가 있습니다. 주인공 월터는 일에도 사랑에도 어설퍼 보이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본인만의 강점을 드러냅니다. 만약 월터와 같은 내향적인 사람이 세상에 없었다면 ‘상대성의 법칙’, 마이크로소프트, <녹턴>, <해리포터>, <기생충>도 없었을 거예요. 아인슈타인, 쇼팽, J.K.롤링, 봉준호, 워렌버핏 등은 내향성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내향성 ‘덕분에’ 멋진 도약을 이뤄냈거든요. 오늘 어킵에서는 내향인이 사회에서 빛을 발할 수 있는 강점과 직장 생활 팁을 알려드릴게요!
<aside> 🔎 **오늘의 a;keep 미리 보기
</aside>
요즘 누군가를 만나면 E인지 I인지 ****먼저 묻곤 하죠. ****Extrovert와 Introvert, 즉 외향성과 내향성은 심리학자 융이 정의한 개념입니다. 융은 '심리적 태도'의 관점에서 인간의 성격 특성을 분석했는데요. 심리적 태도란 정신적 에너지가 흐르는 방향성을 말합니다. 외부 세계에 관심을 두고 에너지를 쓴다면 '외향성', 내면세계에 관심을 두고 에너지를 쓴다면 '내향성'으로 정의했죠.
이때 오해하지 않아야 할 것이 있어요. 내향성은 수줍음, 낯가림, 소심함 등과는 달라요. 내향성은 타고나는 ‘기질’인 반면, 수줍음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긴장할 때 보이는 ‘태도’입니다. 외향인들도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만나면 수줍어질 수 있고, 내향인도 편한 상대 앞에서는 말이 많아질 수 있어요. 또한 내향인이라 해도 대범한 행동을 할 수 있죠. 영화 속 월터의 기질은 여전히 내향이지만 파란만장한 모험을 떠나는 것처럼요.
그렇다면 무엇이 내향인을 내향적으로 만들까요? 앞서 말했듯 성향은 선천적이라 그 원인은 몸에 있습니다. 많은 뇌과학 연구에 의하면 내향인과 외향인의 차이는 신경계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내용출처=『월요일이 무섭지 않은 내향인의 기술』
외향적인 사람들은 도파민 수용체가 상대적으로 둔감해서 어떤 감각을 느끼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도파민이 필요합니다. 짜릿한 외부 활동과 자극을 찾는 이유죠. 반면에 내향적인 사람들의 도파민 수용체는 상대적으로 민감해 같은 양의 외부 자극으로도 훨씬 큰 영향을 받으므로, 잔잔한 일상에서도 충분한 도파민을 얻을 수 있어요. 내향인이 자극을 많이 받으면 기분이 좋다 못해 불안해지는데, 이때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마음에 안정을 가져다준다고 해요.
내향인과 외향인의 두뇌는 혈액이 이동하는 경로도 다릅니다. 내향인은 혈류가 **기억, 계획, 고민 등 ‘내적 경험’**을 관장하는 관련 부위로 흐르고 그 경로가 매우 복잡하고 깁니다. 반면, 외향인의 뇌에서는 혈액이 ‘감각적 자극’에 집중하는 영역으로 흐르고 그 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아요. 혈류의 경로 차이는 주요 기억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죠.